번역 박통사와 번역 노걸대 바로 읽기를 위한 제언 / 번역 박통사 와 번역 노걸대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2-04 02:32
본문
Download : 번역 박통사와 번역 노걸대 바로 읽기를 위한 제언.hwp
3) 그런데 이 같은 characteristic(특성)은 문장이나 음운을 연구 단위로 하는 기존 시각으로는 찾아내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결국 대화의 중심 핵이라 할 수 있는 화제는 최소한 한 문장 이상의 단위에서 찾아지는 까닭이다.본고는 이러한 생각에서 출발한다.
설명
2. 번역 박통사 와 번역 노걸대 이해를 위한 선행 지식
번역 박통사 와 번역 노걸대 바로 읽기를 위한 제언 1. 머리말 ...
번역 박통사와 번역 노걸대 바로 읽기를 위한 제언 / 번역 박통사 와 번역 노걸대
번역 박통사 와 번역 노걸대 1)는, 중세문헌으로는 유일하게 대화체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.
Download : 번역 박통사와 번역 노걸대 바로 읽기를 위한 제언.hwp( 74 )
번역 박통사 와 번역 노걸대 바로 읽기를 위한 제언 1. 머리말 ...
번노 와 번박 이 대화체로 구성되어 있고, 그것이 여러 개의 장으로 분절되어 있음은 익히 아는 바이다4). 그런데 그 분절 단위가 주제의 다름에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. 즉 이 문헌들이 대화체라는 점에서 여타의 문헌과 差別된다면, 거기서 우리는 당시의 구어체적 characteristic(특성)을 밝혀야 할 것이고, 대화 참여자들이 어떻게 화제를 전개시켜 나가는가를 주목해야 할 것이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음운론적 성격을 구명하거나, 각각을 박통사 언해 나 노걸대 언해 와 비교하는 데 역점을 두었던 것이 사실이다2). 그러나 정작 우리가 이들을 주목하는 이유를 생각한다면, 지금까지와는 다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. 그것은, 이 문헌들이 처음부터 생산자가 의도하고 계획한 바에 따라 이루어졌음을 시사하기 때문일것이다
순서





2.1 완결된 텍스트로서의 이해
번역 박통사 와 번역 노걸대 바로 읽기를 위한 제언
1. 머리말
번역 박통사와 번역 노걸대 바로 읽기를 위한 제언 / 번역 박통사 와 번역 노걸대
고영근(1999, 141)에 의하면, 어떤 대상이 텍스트다움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언어적인 결속 장치가 제대로 갖추어져야 하고 의의의 연속에 걸림이 있어서는 안된다 여기서 ‘결속장치가 제대로 갖추어져야 함’은 통사론적...
레포트 > 사회과학계열
다. 그래서 기존 시각과 달리 번박 과 번노 를 완결된 텍스트로서 이해해야 한다는 점과, 이들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독자 스스로가 대화 장면에 적극 가담하여 생략(省略)된 상황을 복원해서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고자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