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어 방언 지리학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0-10 00:24본문
Download : 한국어 방언 지리학.hwp
경기방언의 단모음체계는 10개(/i, e, ɛ, ü, ö, ṫ, ǝ, a, u, o/)이다. . 이처럼 지역에 따라 모음체계가 다소 다르므로 방언간에 모음의 상관 대립체계가 어떤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.
지역에 따라 모음체계는 자음체계에 비해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아 제주방언에서 //가 실현되며 경상방언에서는 /에/와 /애/, /...
순서
,인문사회,레포트
지역에 따라 모음체계는 자음체계에 비해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. /ü/가 /ö/에 비해 이중모음으로 실현되는 경향이 강하며 젊은 세대에서는 /e/와 /ɛ/의 변별력이 약화되어 가고 있어 젊은 층의 모음체계는 8모음 체계로 나타난다.
강원방언의 단모음체계는 10모음체계와 9모음체계지역으로 대별된다 서남 영동방언권인 영월. 평창. 횡성지역에서는 9개 모음체계로 /ü/가 이중모음으로 실현되며 그 외 지역에서는 경기방언과 같이 10개 단모음체계를 유지하고 있다
경북지역에서 단모음체계는 모두 6개 (/i, E, Ǝ, u, o, a/)모음 체계이다. 그러나 북부지역인 문경, 안동, 예천, 의성지역에서는 /으/와 /어/가 변결적이라는 견해가 제시되어 7개(/i, E, ṫ, ǝ. …(To be continued )
다. 제주방언에서 //가 실현되며 경상방언에서는 /에/와 /애/, /... , 한국어 방언 지리학인문사회레포트 ,
Download : 한국어 방언 지리학.hwp( 15 )
설명
한국어 방언 지리학
레포트/인문사회






지역에 따라 모음체계는 자음체계에 비해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제주방언에서 //가 실현되며 경상방언에서는 /에/와 /애/, /으/와 /어/가 비변별적이며, 경상방언이나 평안방언에서는 /위/, /외/가 단모음이 아닐것이다.